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유산소 운동할 때 적정 심박수는? 공식과 함께 알아봅시다.

by tekjiro06 2025. 2. 13.
728x90
반응형

1

 

유산소 운동 시 적정 심박수를 계산하는 공식이 있습니다. 일반적으로 사용되는 공식은 최대 심박수를 기준으로 목표 심박수 범위를 설정하는 방법입니다.

반응형

1. 최대 심박수(Maximum Heart Rate, MHR) 계산 공식

가장 널리 사용되는 공식: 
최대심박수(MHR)=220−나이
예를 들어, 40세라면 최대 심박수는 220−40=180이 됩니다.

2. 목표 심박수(Training Heart Rate, THR) 계산 방법

유산소 운동 강도는 보통 최대 심박수(MHR)의 일정 비율(%)을 기준으로 합니다. 일반적인 범위는 다음과 같습니다.

저강도 유산소 운동 (50~60%): 걷기, 가벼운 조깅 등
중강도 유산소 운동 (60~75%): 조깅, 빠른 걷기, 사이클링 등
고강도 유산소 운동 (75~85%): 러닝, 인터벌 트레이닝 등

 

목표 심박수 계산 공식:(목표심박수=최대심박수×목표강도

 

예를 들어, 40세이고 중강도(60~75%) 운동을 하고 싶다면:
60%: 180×0.6=108
75%: 180×0.75=135
⇒ 중강도 유산소 운동 목표 심박수: 108~135 bpm

728x90

3. 카르보넨(Karvonen) 공식 (개인별 차이를 고려한 방법)

좀 더 정밀한 방법으로 카르보넨 공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이 공식은 개인의 안정 시 심박수를 고려하여 보다 맞춤형 목표 심박수를 계산합니다.

공식: 목표심박수=(최대심박수−안정시심박수)×목표강도+안정시심박수
예를 들어, 40세이고 안정 시 심박수가 60bpm이라면, 중강도(60~75%) 운동 시 목표 심박수는:
(180−60)×0.6+60=132
(180−60)×0.75+60=150
⇒ 중강도 유산소 운동 목표 심박수: 132~150 bpm


이 공식을 활용하면 자신의 운동 목표에 맞게 심박수를 조절할 수 있습니다. 운동 중 심박수 측정 기기(스마트워치, 심박수 측정기 등)를 사용하면 더 효과적으로 관리할 수 있습니다.

 

2025.02.12 - [분류 전체보기] - 달리기 많이 하면 무릎에 안 좋을까? 러닝이 무릎에 미치는 영향

 

달리기 많이 하면 무릎에 안 좋을까? 러닝이 무릎에 미치는 영향

적절한 러닝 습관을 유지하면 무릎 건강에 큰 문제가 되지 않지만, 몇 가지 주의할 점이 있습니다.1. 러닝이 무릎에 미치는 영향 러닝 자체가 무릎을 망가뜨리는 건 아닙니다. 오히려 적당한

tekjiro06.tistory.com

2025.02.07 - [분류 전체보기] - 운동할 때 체중 감량에 효과적인 심박수는?

 

운동할 때 체중 감량에 효과적인 심박수는?

최근에는 애플워치 등의 웨어러블 기기가 많이 보급되어 운동할 때 유용하게 사용하는 분들이 많습니다. 특히 유산소 운동을 할 때는 심박수 등의 수치를 이용해서 효과적으로 운동을 하고 관

tekjiro06.tistory.com

2025.02.07 - [분류 전체보기] - 러닝, 조깅할때 적정 심박수는 얼마일까? 165bpm

 

러닝, 조깅할때 적정 심박수는 얼마일까? 165bpm

러닝할 때 적정 심박수는 나이, 운동 목표, 체력 수준에 따라 달라질 수 있습니다. 심박수 165bpm이 적절한지 알아보려면 최대 심박수(Max HR)와 운동 강도를 기준으로 판단하는 것

tekjiro06.tistory.com

 

728x90
반응형